ETF의 총 수수료
ETF를 거래 및 보유시 소용되는 총 수수료를 알기 위해서는 어떤 비용들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 대부분의 자산운용사에서는 ETF를 설명할 때, 총보수만 공시를 하지만, 이외에 기타비용과 매매,중계 수수료가 총보수 보다 더 큰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숨어 있는 비용을 확인해서 비교해보고 저렴한 ETF를 매매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익률을 유리하게 운용할 수 있습니다.
ETF 총 수수료 확인 방법
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홈페이지에서는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ETF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https://dis.kofia.or.kr/websquare/index.jsp?w2xPath=/wq/main/main.xml
첫 화면의 펀드공시 메뉴를 클릭하면 많은 메뉴가 나오는데, 그 중에서 펀드별 보수비용비교를 클릭하면 ETF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.
여기서 저는 요즘 많은 분들이 연금저축과 IRP에서 모아가는 한국판 SCHD인 미국배당 다우존스를 키워드로 검색해보겠습니다.
모두 3개의 운용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이 나왔습니다. 여기서 우리가 확인해야 하는 총 수수료는
(A) 총보수율 + (B) 기타비용 + (D) 매매, 중계 수수료율 입니다.
A,B,D를 모두 합한 것이 해당 ETF에서 발생하는 총 수수료이입니다.
검색된 자료는 Excel파일로 다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비교하는 ETF가 많을 때에는 엑셀로 다운 받아서 총 수수료를 비교해보면 더욱 좋습니다.
참고로 현재 한국형 SCHD중 가장 저렴한 것은 미래에셋의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입니다. 운용사의 정책에 따라서 수수료가 변경되는 경우는 많습니다. 장기 투자에는 수수료가 전체 수익률에 다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ETF 투자시 꼭 비교해보고 투자하시기 바랍니다.
#ETF 수수료 확인방법 #ETF 총 수수료 #ETF 총 보수 #SCHD 수수료 #미국배당 다우존스 수수료 #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#ETF 수수료 비교 #ETF 수수료 조회 #ETF 총 수수료 비교 #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 수수료